"고정 관념을 깨는 창의적 발상으로 지뉴브의 성공 신화를 쓰려 합니다" 

지뉴브(GENUV)는 퇴행성 뇌질환과 암질환, 자가면역질환 등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는 신약 개발 업체다.

한성호 지뉴브 대표는 최근 미국 의학전문지 바이오스페이스(BioSpace)와의 인터뷰에서 ”나는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한국에서는 보기 드믄 여성 CEO 중 한 명“이라면서 ”오늘날 지뉴브의 성공은 고정 관념에서 벗어난 자세였다“고 밝혔다.

신경해부학과 신경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은 한 대표가 연구자의 길로 들어선 것은 자연스러운 인생 경로였다. 그러나 한 대표는 ”미국 멤피스에 있는 세인트 주드 어린이 병원(St. Jude's Children's Hospital)에서 연구하면서 자신이 고정 관념을 깨며 새로운 길을 찾고 팀을 조직하는데 재능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밝혔다. 이러한 재능은 한 대표를 실험실 의자를 박차고 나와 사업가적인 행로로 이끌었다.

그로 인해 그녀는 과학과 다양한 주제에 대해 쉽게 이야기할 수 있었다. 한 대표는 ”나는 사교적인 사람“이라면서 ”과학자들 사이에는 이런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 아니며 이러한 성격이 회사를 구상하고 설립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논의와 토론에 대한 한 대표의 친화력은 지뉴브가 발전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기업 문화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사원들의 협력이 필요했다. 예를 들어 신경 신생과 신경 항상성 기전 약물을 개발하려는 회사의 목표를 위해 한 대표는 회사 직원들의 과학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싶었다. 한 대표는 대학을 갓 졸업한 신입사원을 포함해서 누구나 회사 문제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는 수평적 문화를 조성했다.

그녀는 “한국은 생명공학 분야에서 20년의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고 장유유서 문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 대표나 다른 고위직 임원들의 도전적 아이디어는 직원들을 불편하게 했다. 한 대표는 “직위나 연공서열에 상관없이 누구나 우리 계획과 아이디어를 비판할 수 있다는 것을 경영진과 직원들에게 납득시키는 데 몇 년이 걸렸다”고 토로했다. 한 대표는 “우리는 대단히 새로운 개념을 연구하고 있다”면서 "따라서 잘 정립된 아이디어라도 논의하고 토론하는 것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한 대표는 지뉴브의 두 가지 플랫폼 중 하나인 신경세포 신생 및 항상성 강화 효능의 후보물질을 발굴해내는 ‘ATRIVIEW 플랫폼’ 설계에 심혈을 기울였다. 현재는 알츠하이머병 및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신약 개발에 사용되고 있다. 한 대표에 따르면 초기 플래폼 설계를 하던 연구팀의 뜨거운 토론을 거치면서 ATRIVIEW 플래폼이 점점 개량됐다고 밝혔다.

2016년 한 대표가 신경 신생과 신경세포 보호를 가능하게 하는 치료제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안했을 때 이 아이디어는 전 세계적으로, 특히 한국에서는 혁신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한 대표는 이러한 사실을 믿지 않는 한국의 주요 기관 투자자들을 설득하는 데 3년이 걸렸다.

한 대표는 ”이제는 전 세계에서 신경 보호 효과를 확신하고 있다“면서 ”또 신경 신생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설득하는 데는 더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우리는 발전을 위한 바른 길을 가고 있다“고 전했다.

지뉴브는 업계에서 가장 뜨거운 주제 중 하나인 자가포식 리소소말 활성화(autophagic lysosomal activation)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이 것은 알츠하이머병의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ALS의 기형 단백질을 표적으로 신경 세포와 미세아교세포(microglia)와 같은 신경 세포를 활성화하여 혈류에서 백혈구처럼 작용하고 뇌 속의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을 연구하는 것이다. 그녀는 "우리 연구원들은 약물 기전을 알기위해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 전문가와 팀을 이루어 작업했다"고 말했다.

지뉴브는 현재 한국에서 루게릭병 치료제 'SNR1611'에 대한 임상 1/2a상을 진행 중이며 2022년 말쯤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후 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한 비슷한 임상을 미국에서 시작할 계획이다.

한 대표는 미국에 약물개발을 위한 디스커버리 센터 설립도 검토하고 있다. ”미국은 가장 혁신적 시장이며 우리는 그 혁신과 인재 기반을 활용하고 싶다“면서 ”나의 요다(Yoda)인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밥 랭어(Bob Langer) 교수가 캠브리지 지역을 권했다“고 밝혔다. 

과학적 진보는 기업 성공의의 한 요소일 뿐이다. 지적 재산(IP)을 이해하고 보호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다.

한 대표는 “한국에서 일을 시작했을 때 아시아 최대 로펌 중 하나인 김앤장에서 특허 고문으로 일해 특허 전략에 대해 매우 잘 이해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 회사 고객에 제넨텍(Genentech) 등 다국적 대형제약사가 있었다. 한 대표의 특허에 대한 지식은 한국 IP 환경을 개선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여러 세미나 강사로 초대 받았다. 한 대표는 “2009년~2015년까지 국회와 협력하여 한국 국회의원들이 지식재산의 중요성을 이해시키는 노력을 해왔다”고 밝혔다.

한 대표는 2014년 한국에서 생명윤리법 개정에 국회의원들과 청와대 보좌관들도 참여시켜 의료 기관보다 개인들이 자신의 유전자 정보 통제가 가능케 했다.

한 대표는 수많은 성공에도 불구하고 야망이 항상 생명공학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한 대표는 “저는 음악을 좋아한다”면서 메디포스트(Medipost)社에서 연구개발(R&D) 전략 책임자로 일하면서 음악 학교에 입학했고 파이프 오르간을 전공했다. 그 때 한 대표는 조선 시대 한국에서 첫 천주교 미사가 행해진 서울 가회동 천주교회 오르간 연주자로 활동했다. 멘델스존 Opus 65번 2악장, 바흐의 토카타, 푸가 D단조 등이 그녀가 좋아하는 곡이지만 부상으로 최근에는 연주 횟수가 줄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