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무역, 기술, 금융 등 전 분야에서 미-중 갈등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유전체 패권경쟁도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 시대에 있어 바이오 기술 경쟁의 핵심인 빅 데이터 수집을 두고 갈등이 첨예화하고 있다.

테라젠 바이오 김태형(사진) 상무는 최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 기고한 ‘유전체 데이터를 둘러싼 미중 패권경쟁 현황’에서 한국도 미-중 바이오 데이터 패권 경쟁의 피해를 받지 않으려면 글로벌 유전체-헬스케어 컨소시엄에 가입하여 기여도를 높여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기고문에 따르면 중국은 AI 관련 기술 고도화에 집중해 현재는 미국과 기술격차를 약 1년 안까지 좁혀 놓았다. 중국은 “앞으로는 데이터가 무기다”라며 데이터를 모으는 데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맞서 미국 정부는 중국이 미국 시민들을 대상으로 유전체 데이터와 의료 데이터를 획득하고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행위가 있었고 이는 미국 국가안보와 미국 경제를 위협한다고 판단해 미국 정부 기관에서는 최근 2년 사이에 중국을 대상으로 여러 압박 조치를 동시에 실행하기 시작했다.

특히 미국 정부는 중국 베이징 게놈 연구소(BGI, Beijing Genome Institute)가 전 세계를 대상으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60개 국가의 데이터가 BGI를 통해 데이터가 중국으로 흘러가고 있다고 의심을 하고 있다. 이 연구소 설립 당시 중국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으로 약 1조7000억원 이상의 펀드를 중국 정부로부터 투자받아 미국 정보기관에서는 중국 정부가 의사결정에 개입되어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 전역에 설립하고 있는 중국 BMI.[사진=뉴욕타임즈]

최근 중국 BGI는 “우리는 민간 기업이고 미국 시민들 데이터를 소유한 적이 없다”고 발표했지만 미국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2020년 7월에 위구르 탄압에 대응한다는 핑계로 BGI 및 중국 바이오 회사들을 제재하기 시작했다.

작년 코로나19 팬데믹 진행 중에 중국 BGI가 워싱턴, 뉴욕, 캘리포니아주를 포함한 미국 6개 주에 코로나19 연구실을 설립해 미국인 검체를 확보해 코로나19 바이러스 연구를 하고 돕겠다고 발표했지만 미국 연방정부는 중국으로 데이터가 반출될 것을 우려해 허가하지 않았다. 더 나아가 미국 정부 연구비로 진행되는 바이오 및 유전체 데이터 생산하는 모든 프로젝트는 중국뿐만 아니라 외국 또는 자국 내 외국 기업에도 데이터 생산을 의뢰할 수 없게 조치하고 있다. 게다가 미국은 유전체 데이터 및 관련 기술 분야까지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중국을 크게 압박하고 있다.

최근 미국 일루미나와 중국 BGI의 자회사 MGI가 서로 차세대 유전체 해독 플랫폼 기술 특허분쟁으로 쟁점화되고 있다. 현재 유럽과 미국 및 전 세계에서 진행 중인 미국 일루미나와 중국 BGI의 특허분쟁 결과에 따라 큰 변화가 예상된다.

한국도 이 영향을 받아 특허료 지급 등으로 인해 시약 원가가 상승할 우려가 있고 여기에 대한 국내에 이들 시퀀싱 장비를 도입한 연구소 및 기업들도 큰 영향을 받을 것이 예상된다.

중국에서도 올해 9월 1일에 시행된 데이터보안법에 의해 중국의 안전과 이익을 위해서 법적인 행사를 언제든지 집행할 수 있다고 명문화했다. 즉 중국 자국 기업이 외국 정부에 데이터 제출 시 중국 정부에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중국은 오래전부터 생체 데이터를 생산하기 위한 자국민 샘플이 외국으로 반출되어 나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금지해 왔었다.

최근 시진핑 주석이 최근에 발표한 ‘Made in China 2025’에서도 국가 전략 차원으로 생명과학 분야에서 중국이 리더가 되기 위해 백신과 정밀의학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다.

김태형 상무는 “한국도 미-중 바이오데이터 패권 경쟁의 피해를 받지 않으려면 글로벌 유전체-헬스케어 컨소시엄에 가입하여 기여도를 높여야 할 것”이라며 “특히 패권국들의 유전체 기술 및 데이터 블록화로 인한 고립을 피하고 한국에 도움이 되는 국가와 연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