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그룹은 26일 임종윤·종훈 사장 형제 측이 최근 한미그룹 시총 200조를 달성해 ‘한국의 론자’로 만들겠다는 비전에 "공허한 모델"이라고 일축했다.

또한 한미그룹 측은 "100개 이상의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만들겠다"고 공언한 두 형제의 비전에 대해 한미약품 평택 바이오플랜트 공정 담당 전문가들의 조언을 빌어 "현실성 없다"고 거듭 반박했다.

회사는 100개 바이오의약품 생산 실현 가능성과 관련해 "100개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은 국내외 시장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의견"이라고 전했다.

또한 임종윤·종훈 형제 측이 최근 기자회견에서 밝힌 5년 후 순이익 1조원에 대해 회사는 "CDO와 CRO 사업을 통해 달성하겠다는 뜻으로 이해되나, 한국 바이오 의약품 시장의 규모와, 한국 CDO 및 CRO 업체의 국제적 위상을 고려 할 때 현실성이 없다"고 주장했다. 단기간에 수익을 창출 할 수 없다는 현실을 간과한 주장이라는 것이다.

이와함께 100개 제품 생산은 국내에서 임상이 개시되는 바이오 임상 1상 의약품의 규모를 고려할 때, 사실상 ‘국내 독점 수주’라는 전제에서 가능한 주장이라고 회사는 반박했다.

회사는 바이오의약품 100개 제품의 CDO와 CRO 사업 수주를 위해 1조 투자는 매우 부족한 투자금액이라고 지적했다.

바이오 의약품의 임상용 의약품 공장 운영 경험을 토대로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GMP 수준을 고려한다면, 생산 시설과 연구 시설의 건축에만 최소 3년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와관련해 비교적 배치(batch) 당 긴 시간 (최소 1주~최대 2개월)을 요하는 바이오 제품의 생산 특성을 고려할 때, 100개 이상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약 10개의 독립된 생산 라인이 필요하다는 게 현장 전문가들을 지적이다.

이에따라 CDO 제품 생산 공장을 위한 토지 관련 비용을 포함 시 약 2조5000억~3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력도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100여종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기술이전, 연구, 생산을 위해  1000명 이상의 인력 모집이 필요하다는 게 현장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이들 중 최소 300~400명은 양질의 경력 인재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평택 바이오 플랜트는 LONZA나 AGC처럼 다양한 종류의 CMO사업을 추진하는 사업장이 아니어서 다품종 소량 생산을 위해서는 신규 공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막대한 자금과 인력이 필요해 한미그룹이 당장 추진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게 현장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