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들의 치매 발병률은 일반 사람들보다 1.5~3배 정도 높다. 최근 당뇨병 환자의 꾸준한 신체 활동이 치매 위험도를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당뇨병 환자라면 하루라도 빨리 규칙적인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얘기다.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가정의학과 유정은 교수, 고대 구로병원 남가은 교수 연구팀은 2009년~2012년까지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한 사람 중 당뇨병을 처음 진단 받은 13만3751명을 대상으로 2017년까지 치매 발생 여부를 관찰했다. 이들 중 3240명에서 치매가 발생했다. (알츠하이머병 2420명, 혈관성 치매 469명)

연구팀은 이들의 신체 활동과 치매 발생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신체 활동은 주당 최소 5회 30분 이상의 중강도 운동이나 주당 최소 3회 20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말하며 2년 주기로 두 번에 걸쳐 신체 활동의 변화를 확인했다.

그 결과 규칙적으로 신체 활동을 한 군에서 전체 치매 발생이 18% 감소했고 알츠하이머병은 15%, 혈관성 치매는 22% 감소했다. 규칙적인 신체 활동을 2년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경우 치매 발생 위험도는 더 낮아져 전체 치매는 27%,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치매는 26%, 38% 까지 감소했다.

또 신체 활동이 부족하던 당뇨병 환자가 2년 내 규칙적인 신체 활동을 하는 경우 신체 활동이 지속적으로 없었던 당뇨병 환자와 비교하여 치매 발생 위험이 최대 14% 까지 감소했다.

연구 결과는 치매 고위험군인 당뇨병 환자에게 규칙적인 운동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현재 운동을 하고 있는 당뇨병 환자는 꾸준함을 유지하고 운동을 하지 않았어도 지금 시작하면 치매 예방 효과가 있다.

당뇨병의 인슐린저항성과 고인슐린혈증이 아밀로이드 베타의 축적을 일으켜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할 수 있다. 또 당뇨병과 관련된 대사질환들은 동맥경화증을 발생시켜 뇌경색이나 뇌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뇌조직이 장기간 손상을 입게 되어 혈관성 치매가 발생하게 된다.

연구팀은 규칙적인 운동은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 및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고 당뇨병과 관련된 동반된 심혈관질환 위험 요인(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등)을 낮춤으로써 치매 발생 위험을 낮출 것으로 추정했다.

유정은 교수는 "당뇨병 환자들의 뇌신경학적 변화들은 당뇨병 초기부터 시작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당뇨병 진단 직후 시기가 생활 습관 유도를 가장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시기인 만큼 당뇨병 진단 시 부터 규칙적인 운동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당뇨병학회 공식 저널인 '당뇨병 관리'(Diabetes Care) 최근호에 발표됐다.

당뇨병 환자의 운동 시 주의사항

혈당 수치가 250mg/dl 이상일 경우 운동을 하지 말고 전문의 치료 후 혈당이 낮아지면 운동해야 한다.

식사 전 공복운동은 당뇨병 질환자에게는 절대 금물이고 식사 후 혈당이 최대로 올라간 시간(대략 식사 후 1시간)에 운동하는 습관이 혈당조절에 유익하다. 운동 시에 저혈당 증상(가슴 두근거림, 손발 저림, 어지럼증, 불안감, 무력감, 비정상적인 식은땀, 구역질, 입과 손가락의 저림, 허기짐 등)이 느껴질 경우에는 사탕1개, 초콜릿 한조각 정도, 반 컵 정도의 쥬스 등을 섭취해야 한다.

또 운동시간이 1시간 이상일 경우에 저혈당 증상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운동을 1시간 동안에 집중해서 하고 휴식을 취해야한다. 이밖에 운동 후에 발에 상처가 있는지 세밀히 살피고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을 경우에는 발의 작은 상처도 궤양이 될 수 있어 운동 후 발에 상처가 있는지 확인 하고 가벼운 상처라 할지라도 바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취침 직전 운동은 삼가고 잠들기 3시간 전에 운동을 끝내야한다. 운동을 하는 중간에는 간에서의 당 생성량이 줄어들고 운동 직후에도 혈당저하가 지속되므로 잠들기 직전에 운동을 하면 새벽에 잠들어 있는 상태에서 저혈당이 올 수도 있어 위험하다.

여름에는 기온이 높아서 체온이 쉽게 상승하고 탈수가 오기 쉬우므로 기온이 높은 낮시간(오후 2~4시)에는 실외 운동을 삼가해야 한다.

                                                  유정은 교수                                   남가은 교수
                                                  유정은 교수                                   남가은 교수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