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추워지면서 코로나19와 독감의 동시 대유행(펜데믹)에 대한 우려감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 9월 25일부터 10월 1일까지 일주일 사이에 인구 1000명당 독감 의심환자수가 평균 7.1명에 달해 유행기준 4.9명을 크게 넘어섰기 때문이다.

전주(前週)보다 무려 45%나 증가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9월 일찌감치 독감유행주의보를 발표하고 예방대책을 추진중이다.

이번 독감유행에 대한 우려는 코로나 유행과 겹쳐있어 더욱 심각하다. 코로나와 독감은 증상은 비슷하나 진단이나 치료법은 전혀 다른 별개의 질환이다. 이 때문에 두 질환이 겹치면 진단과정이 복잡하고 의료기관의 업무부담도 가중될 수 밖에 없다. 또 다른 위협은 지난 2월부터 시작된 감기약 품절사태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실적으로 코로나의 경우 치료제는 없으니 백신접종외 뚜렷한 예방ㆍ치료방법이 없다. 그러나 독감은 해열진통제등 치료제가 국내에서 생산되는데도 환자들이 구할수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한 제약회사 영업직원은 “감기 몸살에 자주 쓰이는 조제용 아세트아미노팬이나 덱시부프로펜 등 의약품은 이미 재고까지 바닥난지 오래”라고 전했다. 그는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올해말이나 내년초에는 감기약 품절사태가 절정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같은 감기약 품절사태를 막기 위해 지난 8월 12일 “감기약의 사용량과 약가연동제 적용을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특정의약품의 사용량이 증가할 경우 해당의약품의 가격을 인하하는 내용의 약가연동제 적용을 완화하겠다는 것이었다.

약값을 올려주면 제약회사들이 감기약의 공급량을 늘릴 것이라는 생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한 총리의 약가 연동제 완화발언에 대한 후속조치는 한달이 되도록 아무런 소식이 없다. 그 동안 민간 협의체 회의만 딱 한차례 열렸을 뿐이라고 했다.

코로나 대유행 시기인 지난 2년동안 독감이 크게 번지지 않았던 것은 시민들이 코로나 예방을 위해 마스크를 철저히 착용한 덕분이라는 것이 의료계의 대체적인 견해다. 그러나 실외에서 마스크를 벗는 올해 겨울에는 사정이 달라져 독감의 대유행이 발생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감기약 부족문제에 대해서도 정부가 마스크 부족사태 때처럼 적극 나서서 감기몸살약등 해당 의약품의 약가를 조정하는등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