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산하 보건의료노조가 지난주 23~24일 간호사등 4만여명이 참여하는 총파업을 벌였다. 산별노조의 전국적인 파업은 24일로 일단 멈췄으나 노조가 “병원별 노사교섭을 진행한 후 경우에 따라 파업을 별도로 단행한다”고 밝혀 당분간 의료노조 파업의 불씨는 남게 됐다.

노조가 파업에 앞서 내건 요구조건은 모두 7개사항이다. 이중 핵심내용은 간호인력을 늘려 간호사 1인당 환자 5명인 현재의 구조를 대폭 축소할 것과 간호ㆍ간병 통합서비스, 공공의료를 강화할 것 등이다. 그러나 속내는 간호사법 제정이 정부에 의해 거부되자 이에 대한 반발인 것으로 의료계는 판단하고 있다.

전국 간호사들의 파업으로 인한 혼란은 곳곳서 빚어졌다. 부산에서는 한 50대 남성이 작업중 칼에 얼굴을 깊게 베었는데도 제때 치료받지 못하고 응급실에서 대기중이었고 뇌경색 증상을 일으킨 60대 할머니는 응급실 치료 순서를 기다리느라 노조가 파업중인 이른바 ‘큰 병원’ 근처를 헤매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노조가 파업중인 한양대 병원에는 환자가 없어 등록창구가 텅 비어있었다. 국립중앙의료원에서는 간호사가 없어 80대 환자가 요양병원으로 옮겨 가기도 했다.

노조가 이번 주 각 병원별로 노사교섭 후 병원별 파업 계속 여부를 결정하기로 한 만큼 각 병원별 파업은 쉽사리 가라앉을 것 같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그러나 노조의 이번 파업은 한마디로 아무런 명분이 없다. 이번 보건의료노조가 파업을 접게 된 것도 국민들로부터 호응을 전혀 얻지 못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의료노조는 기회있을 때 마다 파업이 환자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라고 했다. 이러한 노조가 파업을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택한 것 부터가 앞뒤가 맞지 않는다. 간호사 1명이 감당해야할 환자수가 너무 많다는 간호사들의 주장은 일리가 있다. 그러나 환자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당장 진료 현장으로 달려가는 것이 앞선 순서다.

모자라는 간호인력 충원은 하루 이틀만에 되는 것이 아니다. 이는 병원과 정부 간호사간 충분한 시간을 갖고 진지하게 논의할 대상이다. 의료현장의 모든 어려움을 파업으로 해결하려는 것은 오히려 의료현장의 혼란만을 부추길 뿐 국민들을 납득시킬 수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