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봉영 기자

제약업계 오랜 숙원 사업 중 하나인 범정부 컨트롤타워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출범을 앞우고 있다. 제약업계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아직까지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이나 부처간 협의가 충분치 않은 상황이지만, 업계는 이 혁신위원회가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지 걱정이 많다.

업계 일각에서는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출범을 환영하면서도, 그 '역할'에는 깊은 의구심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초 제약바이오 전 분야를 아우르는 국무총리 주재의 범정부 컨트롤타워로 가칭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 설치를 추진해 왔다.

그런데 위원회명에 '제약' 명칭이 빠지고 '헬스'가 들어간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에 제약업계가 이 업계가 고개를 가우뚱하고 있다.

명칭에 제약이 빠지면서 위원회가 주로 다루는 내용이 바이오에 한정돼 있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그것이다.

실제 최근 정부 정책 기조를 보면 합성의약품 중심의 전통제약사보다는 바이오신약이나 바이오시밀러 등을 생산하는 대기업 위주의 정책 지원이 강해지는 분위기가 팽배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위원회명에 '제약' 명칭이 빠지자 제약계 일부에선 "전통 제약사들이 푸대접받는게 아니냐"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이런 분위기를 감안해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위원회 첫 회의에 사용량 약가연동 제도, 혁신제약사 신약 약가 보상 등 약가제도 개선, 원료의약품 자국화 실현, 메가펀드 조성 등 국내제약사의 화급한 현안을 전달할 예정이지만 '약발'이 먹힐지는 미지수다.

약가연동 제도, 혁신제약사 신약 약가 보상 등 약가제도 개선, 원료의약품 자국화 실현, 메가펀드 조성 등이다.

위원회를 제대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각 부처간 정책 협의가 선행돼야 하지만 이와 관련해서는 공개된 바로는 아직까지 별다른 논의가 진행된 적이 없다.

가뜩이나 그간 의약품, 의료기기 및 보건의료기술 등의 제품 및 서비스와 관련된 바이오헬스 업무가 부처별, 분야별, 단계별 칸막이에 가로막혀, 정부 정책이 '분절적'이란 지적이 많았다.

이런 사정 속에 혁신위원회 운영과 관련한 상세 내용이 공개되지 않아 제약계는 위원회의 향후 행보에 더욱 의구심을 갖고 있는 것이다.

어쨌거나 각 부처가 처음 모이는 11월 첫 회의에 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회의에 어떤 내용이 안건으로 올라올 지, 부처가 어떤 식으로 정책 실현을 위해 중지를 모을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다.

업계 관계자는 "바이오헬스 분야를 컨트룰 할 수 있는 독립적인 위원회가 생기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라며 "다만 업계가 발전할 수 있는 정책 지원 등을 위해서는 전체 산업을 아우르는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며 뼈있는 지적을 했다.

"위원회가 회의를 통해 내놓는 실질적인 결과물들을 일단 봐야 평가가 가능할 것 같다"고 조심스레 말했지만, 전통제약계가 소외되는 건 아닌지, 위원회 출범에 기대보다는 우려가 크다.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구성 주요 기관 현황. [자료= 복지부]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구성 주요 기관 현황. [자료= 복지부]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