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성장호르몬 의약품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함에 따라 오남용 우려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도 해당 의약품에 대한 기획 감시를 예고하고 있으나 시장 성장을 막기는 역부족일 것으로 보인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성장호르몬 의약품 시장은 지난해 약 3000억원대로 커진 것으로 추정된다. 전년 2400억원 대비 약 25% 성장한 수치다.

현재 시장을 이끌고 있는 양대산맥은 LG화학 '유트로핀'<사진>과 동아ST '그로트로핀'이다. 유트로핀은 지난해 매출을 공개하지는 않았으나 약 1400억원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로트로핀은 95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들 제품의 뒤를 따르고 있는 품목은 화이자 '지노트로핀', 머크 '싸이젠',  등이 있다.

신제품도 속속 시장에 가세하고 있다. 지난해 9월 화이자는 소마트로곤 성분의 '안젤라'를 급여 출시했다. 또 최근 노보 노디스크는 '소그로야'를 허가받은 바 있다.

품목별로 성장률에 차이는 있지만 대다수 제품들이 최근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며 승승장구하고 있는 추세다.

해당 시장이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는 배경에는 부모들이 자녀의 키 성장에 대한 관심이 전보다 늘어났다는 것이 이유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성장호르몬제의 경우 일부 적응증에 한해 급여권 내에 진입해 있지만 실제 처방은 비급여로 이뤄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는 급여 처방되는 비율은 3%에 불과했으며 97%가 비급여로 파악됐다.

성장호르문제 주요 적응증은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장애로 인한 소아의 성장부전  ▲특발성 저신장증  ▲터너 증후군으로 인한 성장부전  ▲임신 수주에 비해 작게 태어난 저신장 소아에서의 성장장애 등이다.

이들 적응증에는 보험 급여가 적용되지만 실제 처방은 키 성장에 특별한 문제가 없는 소아들에게 주로 쓰이고 있다.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성장호르몬제의 경우 성장에 문제가 없는 소아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도 실시한 적이 없고 효능이 없다는 공식 입장을 밝히기도 있다. 그럼에도 해당 의약품은 '키 크는 '약'으로 알려져 현재도 많은 소아들에 투여되고 있다.

성장호르몬제 오남용 문제는 국정감사에서 단골로 지적되는 사안 중 하나다. 지난해에도 이 같은 문제가 지적됐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성장호르몬제 취급 의료기관이나 약국을 대상으로 기획 감시를 진행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식약처는 성장호르몬제 허위ㆍ과대광고, 병ㆍ의원, 약국 등에서 광고문구에 직접적으로 '키 크는 주사' 등을 홍보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 같은 기획감시가 키 크는 주사로 주로 쓰이는 성장호르몬제 사용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식약처 기획감시에 의료기관 병원 등의 과대 광고 등이 적발되더라도 처방 자체를 제한할 수 있는 실효적인 처분으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의약품의 경우 허가 외 사용(오프라벨)으로 인한 효과를 기대해 의료인이 사용하는 것은 법에서도 허용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성장호르몬제를 제한할 법적인 근거가 없는 한 앞으로도 사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시장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