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소비자뉴스=편집국] 섬마을이나 육지의 외딴마을의 위급환자를 지정 응급의료센터에 신속하게 이송, 생명을 구할수 있는 응급의료전용 헬기가 이번주부터 본격 운영된다.

보건복지부는 응급헬기를 인천시 가천의대 길병원과 전남 목포시 한국병원에 각각 1대씩 배치하고 오는 2015년까지 이를 16곳으로 늘려 운영키로 했다.

응급헬기는 환자의 상태를 현장에서 알아볼수 있는 모니터와 인공호흡기등 첨단장비와 의사 간호사등이 탑승, 신고접수후 5분내에 출동할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응급헬기는 지금까지 OECD국가중 유일하게 우리나라만 운영하지 않고 있어 의료기술은 선진국 수준인데 비해 응급치료 체계는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씻지 못하고 있었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섬지역과 오지마을의 응급환자들이 충분하지는 않지만 생명을 구할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된 것만으로도 다행이다.

지금까지 응급환자 이송체계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2003년부터 지금까지 325억원을 들여 강원도와 전남 경북등 6개지자체에 응급헬기구입을 지원, 운영케 했었다.

또 소방헬기도 이용됐었다. 그러나 최근 5년간 이들 지자체 헬기운영실태를 보면 2775건의 운항내역중 환자이송은 겨우 13%인 359건에 불과했다. 대부분 수해지원이나 교육훈련, 시험비행, 화재출동등에 사용됐고 심지어 지자체장들의 행사참가시 교통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했다. 목적과 달리 엉뚱한 곳에 쓰였던 것이다.

응급헬기임에도 지자체에서 응급장비도 갖추지 않았다. 환자이송 병원도 지정되지 않았을뿐더러 탑승할 의사나 간호사도 없었다.

따라서 이번 응급의료전용 헬기운영으로 전담병원 연계체제와 24시간 운행시스템을 갖춘 것은 앞으로 섬마을이나 오지의 응급환자 치료에 상당한 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응급의료전용 헬기운영시스템 구축이 오래된 선진국의 경우 대부분 고속도로의 대형교통사고로 인한 중증환자까지 기내에서 응급처치후 지정 응급센터로 신속하게 이송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독일에서는 응급의료전용 헬기 도입이후 외상환자의 사망률이 그 전 보다 3분의 1로 줄었다는 통계도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육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응급의료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는 섬주민이 많아 응급헬기 운영은 일단 섬지방을 중심으로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앞으로 섬지방외에도 고속도로 사고와 외딴 산골주민까지 응급의료혜택을 받을수 있도록 전용헬기 운영시스템을 확대해 나가기 바란다. 무차별적인 무상의료지원보다 이처럼 소외된 국민을 대상으로 선별적, 단계적으로 의료혜택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복지정책의 첫걸음이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