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소비자뉴스=편집국] 고혈압 당뇨병등 만성질환과 감기 결막염등 비교적 경증환자들이 종합병원을 이용할 경우 이달부터 약값의 본인부담률이 종전 30%에서 50~40%로 각각 올랐다.

만성질환이라도 인슐린 주사등 전문적 치료가 필요할 때는 종전의 낮은 약값부담률이 적용된다. 복지부의 이러한 약값 본인부담률 인상은 건강보험재정 적자를 조금이라도 줄여보고자 하는 안간힘의 하나로 보인다.

복지부의 이러한 노력은 일단 환영할만 하다. 만성적인 종합병원 환자쏠림 현상을 완화하는데도 다소나마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종합병원에 대한 환자쏠림 현상은 널리 알려져 있듯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3분도 안되는 진료를 받기위해 3시간이상 기다려야 하는 진풍경은 국내 대형 종합병원에서 이미 익숙해진 풍경이다. 종합병원에 대한 환자들의 맹목적인 믿음 때문이다. 종합병원에 몰리는 가벼운 질환자들이 동네병의원등 1차진료기관으로 분산된다면 종합병원도 중증환자 위주의 전문치료에 전념할수 있게 될 것이다.

현재 국내 빅5라는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아산병원 서울대병원 연세대세브란스병원 서울성모병원등도 전문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비율이 30%를 밑돌고 있을 정도다.

전국 44개 상급종합병원 가운데 중증전문치료 환자의 비율이 전체환자10명중 1명정도 밖에 안되는 곳이 무려 11곳이나 된다. 경증환자들이 전문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의 진료기회를 그만큼 빼앗고 있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정부가 이번 52개 질환자들에 대해 종합병원이 처방하는 약값의 자기부담률을 인상한다고 해서 곧바로 종합병원의 환자쏠림현상이 사라질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 우선 전문진료와 단순진료의 경계가 애매모호하기 때문이다. 병원측이 무차별적으로 수입증대를 꾀할 경우 단순진료가 의료비가 비싼 전문진료로 바뀔수도 있다.

따라서 환자들이 종합병원처방 약값이 오른 52개 질환이 어떤 것들인지, 병원 안팎에서 사전에 알수 있도록 환자들에게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환자들이 약값부담률이 많은 종합병원과 부담률이 낮은 병의원중 선택을 쉽게할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위해서다.

병의원과 시중약국 구청 보건소등의 게시판에 안내문을 부착하는 것도 한 방법일수 있다. 환자들이 약값인하 내용을 자세히 숙지할 때 진료비와 약값을 아낄수 있고 건보적자축소에도 도움을 줄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