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형근)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2001년부터 2008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순환기계통 질환’ 인 ‘저혈압(I95)’ 실진료환자수가 2001년 9천명에서, 2005년 1만명, 그리고 2008년에는 1만3천명으로 나타나 최근 8년간(2001-2008) 40%이상 증가(연평균 5.0%↑)했다고 밝혔다.

성별 실진료환자수는 2008년 기준으로 남성이 5천명, 여성은 8천명으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1.6배 이상 많았으나, 최근 8년간(2001년-2008년) 성별 실진료환자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은 10.9%(2,348명 → 4,832명), 여성은 2.4%(6,774명 → 7,995명)로서 남성이 여성보다 4.5배 이상 컸다.

‘저혈압’ 실진료환자수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연령대는 70대 이상 노인층으로서, 최근 8년간 70대는 2.4배(788명 → 1,912명), 80대이상은 2.9배(235명→ 684명) 증가하였다.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 30~40대를 제외하고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 했으며, 여성의 경우는 60대까지는 오히려 줄어들거나 소폭 증가하다가 70대 이후부터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이한 점은 50대까지는 여성이 남성보다 실진료환자수가 많았으나, 60대 이후부터는 오히려 남성이 여성보다 실진료환자수가 많았다.

10만명당 성별/연령대별 ‘저혈압’ 실진료환자수는 2008년 기준으로 남성의 경우 80대이상이 1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70대가 120명, 60대 58명 순(順)이었으며, 여성은 70대 71명, 80대이상 68명, 60대 49명 순(順)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저혈압‘ 진료에 의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1년 5억원에서 2005년 8억원, 2008년 15억으로 나타나, 2008년 ’저혈압‘ 진료에 의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1년 대비 2.9배 이상으로 같은 기간 동안 건강보험 전체 진료비 증가폭인 2.0배 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공단이 요양기관에 지급한 2008년 ‘저혈압’ 급여비는 모두 10억원으로 입원 5억원 > 외래 3억원 > 약국 2억원 순(順)이었다.

한편, 같은 기간 동안 ’고혈압(I10-I15)‘ 진료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도 꾸준하게 증가하여 실진료환자수는 2001년 240만명에서 2005년에는 370만명 그리고 2008년에는 460만명으로 증가하였고, 진료비는 2001년 7천억원에서 2005년 1조4천억원 2008년에는 2조1천억원으로 증가하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심장내과 전동운교수는 “‘저혈압’ 증상 및 관리요령에 대하여 “저혈압은 일반적으로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도 많이 있으나, 간혹 어지러움증이나 전신무력감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실신 등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저혈압을 가져올 수 있는 질병이나 상황으로는 1) 심부전증, 대동맥판막 협착증, 중증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심방 점액종, 비후성 심근병이나 승모판막 협착증 또는 심낭압전이나 대동맥 박리증과 같은 심장혈관계 질환 2) 부신선이나 갑상선 기능저하, 및 과호흡이나 저혈당 또는 저산소증과 같은 내분비 및 대사성 질환 3) 약물에 의한 이차적인 저혈압 4) 기립성 저혈압 등을 들수가 있습니다. 물론 위와 같은 특정 질병이나 상황을 동반하지 않은 특발성 저혈압도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대체적으로 저혈압을 일으키는 원인 질병이나 상황이 있는 경우에는 그 자체를 교정하여 주면 개선될 수가 있습니다. 특별한 증상을 동반하지 않은 특발성 저혈압의 경우에는 대개의 경우 치료를 필요로 하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저혈압 환자는 탈수나 갑작스러운 체위 변화(예를 들어 누워 있다가 갑자기 일어난다든지 하는 등)와 같이 저혈압을 악화시킬 수 있는 상황을 피하여야 하며, 혈관 확장제와 같은 약물의 투여에 신중하여야 합니다. 또한, 증상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과도한 스트레스나 육체적인 피로를 피하여야 합니다”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최근 남성의 ‘저혈압’ 진료환자 증가와 관련해서는 “이러한 현상은 정확한 원인을 말하기가 쉽지는 않으나, 노인성 고혈압 환자의 경우 남성의 비율이 여성보다 좀 더 많고, 노인 남성의 경우에 노인 여성에 비하여 동맥경화의 정도가 일반적으로 더 심하고 항고혈압약제에 의한 혈압강하정도가 더 심하며(저혈압 등의 부작용 또한 더 빈번하다고 판단이 되며), 또한 위에 열거한 저혈압을 일으키는 질병이나 상황이 남성의 경우가 여성보다 더 호발하는 것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예방하기 위하여 평소 건강한 식생활 습관이나 운동을 통하여 혈관(특히 동맥)을 튼튼히 하여야 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