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1일 발표한 제약산업 육성·지원을 위한 5개년 계획은 앞으로 국내제약사들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세계적 제약기업으로 육성한다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갖는다.

이날 발표된 5개년 계획은 이명박 전 정권 시절 오는 2020년까지 세계 7대 제약강국으로 발돋움한다는 제약산업 육성책의 골자를 새 정부 들어서도 흔들림없이 추진한다는 의지를 밝혔다는 점에서도 높이 평가할 만하다.

우선 대체적인 내용을 보면 현 정부의 임기 말인 2017년 말까지 △현재 제약사들이 추진 중인 20개 신약개발사업을 집중 지원, 4개 글로벌 신약을 창출하고 △제약업계의 수출실적 11조원 달성 △이를 위해 민간과 정부가 매년 1조원씩 모두 5조원을 투입하는 것으로 돼있다.

또 5년동안 석박사 과정을 포함한 전문인력 1만명도 육성한다. 정부는 이번 5개년 계획 작성을 위해 의·약계와 제약업계, 학계 등 관련 민관단체들이 모두 참여했다고 밝혔다.

제약산업이 국가경제발전을 위한 성장동력이자 미래의 먹거리 산업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정부와 관련 민간단체들이 이처럼 힘을 모으는 것은 퍽 다행이 아닐 수 없다. 미국이 오늘날 신약개발과 세계 50대 제약사 보유 순위에서 매년 부동의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는 것은 미국립보건원(NIH)이 중심이 돼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일이다.

일본도 신약개발을 위한 컨트롤타워로 삼기 위해 일본판 NIH 설립을 모색하고 현재 관련법을 정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제약산업은 기술과 자본 집약산업이다. 고도의 기술개발과 투자가 꾸준히 일어나야만 성공할 수 있다. 또 시간과의 싸움이다. 1개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기간이 5~10년이다. 이는 성패를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지 성공을 보장하는 시간이 아니다. 그래서 정부 지원은 불가피한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계획이라도 정부의 추진 전략에 일관성이 없으면 정책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 일관성을 잃으면 정책의 신뢰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추진 과정에서 부분적 수정은 있을지라도 정부 지원과 의지는 변함없어야 한다. 그래야 연구 및 산업현장이 정부를 믿고 따른다. 투자재원 5조원의 조달도 문제지만 규모가 너무 적다는 것이 제약업계의 견해다.

제약업계도 정부의 지원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 좁은 국내시장만을 상대로 한 리베이트 영업방식에서 탈피, 그 재원으로 연구개발에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세계 제약산업은 화학·바이오 기술융합시대에 들어선지 오래다. 이를 극복하는 것은 기술개발 밖에 없다. 삼성·LG전자 현대자동차 POSCO가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 기업이듯 민관이 합심하면 제약업계에서도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 기업이 탄생하지 말라는 법이 없다. 지금이야말로 정부와 의·약계, 제약업계, 학계 등이 하나가 돼야 할 때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