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의 의약품 허가체계에 구멍이 뚫린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조아제약이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녀들의 집중력 향상에 좋다고 선전한 '의약품' 바이오톤이 일반약에서 건강기능식품으로 격이 떨어지면서 식약처의 의약품 허가체계가 다시 도마 위에 오른 것이다.

'바이오톤 건기식 격하' 사태를 보면 식약처와 제약사가 소비자인 국민을 얼마나 우습게 보는지 알 수 있다.

식약처는 바이오톤이 의약품에서 건기식으로 전락된 배경에 대해 '함구'로 일관하고 있고, 판매사인 조아제약은 지난달 31일 저녁 6시가 넘은 '취약 시간대'에 공시를 통해 슬며시 알렸다. 이는 무언가 기업이 소비자에게 감추려는, 떳떳하지 못한 도덕성 해이의 결과라고 본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중요한 문제인데도 이 회사가 '바이오톤 건기식 격하' 사태를 슬며시 넘기려다 취재 안테나에 포착된 것이다.

식약처 또한 약효가 중요한 의약품을 허가해줄 때는 언제이고, 이제 와서 건기식으로 다시 허가해도 되는지에 대해 국민들에게 설명이 필요했다는 게 취재 기자의 판단이다.

그간 15년 이상 일반약으로 알고, 보건당국인 식약처를 믿고 '바이오톤'을 성실히 복용해온 소비자들만 애꿎은 처지가 돼버렸다.

지금도 시중에는 바이오톤과 같은 종류의 '건기식 의약품'들이 약국에서 팔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과거에 허술한 보건당국의 허가시스템에서 의약품으로 당당하게 약국에 입성된 '건기식'들이다.

일단 의약품들은 보건당국의 성분 함량 및 제조 등에서 엄격한 품질관리를 받는다. 따라서 소비자의 신뢰가 다르다. 건기식과는 '품질'이 다르다는 얘기다.

과거에 허가된 다수의 '건기식 의약품'들이 아직도 약국에서 버젓이 유통되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우려다.

보건당국의 뒷북행정도 문제다. 그간 허가됐던 의약품들 중 부작용이 생겨 사회 이슈가 되거나 민원이 제기되면 그제서야 부랴부랴 검토에 들어가는 '베짱이 행정'에 익숙해 있다.

그러다 문제가 생기면 제약사 쪽에 의약품 재평가 자료를 요구하고 있는데 이 또한 심각한 문제다. 의약품으로 약효를 재평가하는 임상은 복수의 대학병원에서 다시 임상을 하는 것이어서 많게는 비용이 100억 가량 들어간다.

약효 재평가는 아예 제품의 문패를 내리라는 얘기나 마찬가지다. 두통약 게보린도 청소년 오남용에다 일부 성분이 문제가 되자 제조사인 삼진제약 측에 재평가 자료를 요청해 이 회사가 벌써 수년째 임상과 씨름하고 있다.

이번 식약처의 바이오톤 약효 재평가도 영세제약사인 조아제약으로서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시간이 많이 드는 임상을 포기하고 '건기식'이라는 편한 길을 택한 것도 어찌 보면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그렇다고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정당화되기 힘들다. 제약사로서는 당연한 선택이라고 했겠지만 이 제품을 애용해온 소비자인 국민은 어찌 보면 '피해자'다. 소비자를 조금이라도 생각했더라면 최소한의 해명 한마디는 있어야 했다는 아쉬움이 그래서 남는다.

제약사도 기업이지만, 영리만 쫓는 일반 기업과 달리 '생명 기업'이어서다. 조아제약은 지금이라도 '바이오톤 건기식 전환'에 대한 이유와 앞으로의 제품 리뉴얼 방침에 대해 소비자에게 당당히, 그리고 소상하게 알려야 한다. <편집국장>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