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사업의 해외진출이 정부 주도로 본격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주 현오석 부총리겸 기획재정부장관 주재로 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의료사업의 해외진출방안을 마련,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범정부차원의 국제의료사업단을 신설키로 확정했다.

이 사업단은 앞으로 △여러기관에서 현재 독자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의료 분야 해외시장 개척을 내년부터 진출 지역별로 공동마케팅을 실시하고 △이를 위한 해외시장 정보를 수집, 통합분석해 제공키 위해 보건산업진흥원에 종합정보포털을 구축하는 등 모든 업무를 주도한다.

의료서비스의 세계 시장은 연평균 8% 이상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미래형 신성장 산업이다. 2009년 2조2000억달러였던 세계 시장 규모는 2015년 3조8000억달러, 2020년에는 5조5000억원으로 지금보다 거의 두배 확대될 것이라는 것이 연구기관의 분석이다.

이에 따라 캐나다 오스트리아 싱가포르 등은 이미 수년 전부터 범국가 차원의 투자 및 병원의 해외진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나라보다는 늦었지만 정부가 이제라도 의료산업의 세계 시장 진출을 지원키로 한 것은 미래 먹거리 확보라는 점에서도 다행스런 일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5년부터 일부 병·의원이 해외진출을 시작해 지난해 말 현재 16개국에 91개 병·의원이 진출했다.

그러나 이 중 58.2%인 53곳이 개인의원급이다. 그러나 대부분 이들 의원은 대부분 중국 동남아를 중심으로한 성형·피부미용 등 분야에 그치고 있다. 4~5년 전부터 대학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중동 중앙아시아 러시아 몽골 등 국가로 확대·진출해 높은 수준의 병원경영 노하우를 인정받고 있다.

또 의료진의 높은 진단·시술능력으로 호평을 받고 있어 국제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이외에도 의료사업의 해외진출은 현재 과잉공급현상을 빚고 있는 국내의 우수 의료인력을 수용할 시장이 될 것이 틀림없다.

그러나 국내 병·의원들이 해외진출 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자금이라고 한다. 대형병원의 경우 중소병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금조달이 쉽다. 그럼에도 해외직접투자를 규제하고 있는 국내법 규정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1~2년이란 세월을 허송하기도 한다. 국내에서 기술 2위로 평가받고 있는 한 심장병전문 중소병원이나 불임·산부인과 병원은 높은 기술수준이 해외에서도 인정받고 있으나 자금이 부족해 해외진출을 망설이고 있는 실정이다.

진출 대상국의 의약품·의료기기 통관절차나 면허취득 등 현지 전문정보도 부족하다. 그동안 정부 수출지원책이 제조업 중심으로 국한돼 있었던 탓이다.

이제는 정부의 수출지원책을 미래산업 분야까지 세분화해야 한다. 해외직접투자를 가로막는 법규정 등 제도적 걸림돌부터 제거해야 한다. 의료·제약 분야 수출 확대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과 금융·세제지원책도 뒤따라야 한다. 이제 첫 걸음을 떼는 정부 주도의 의료사업 해외진출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