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가 오는 2017년부터 치매조기진단 서비스를 실시키로 확정했다고 지난주 발표했다.

미래부는 이를 위해 서울대 조선대 삼성서울병원이 참여하는 연구체제를 갖추고 앞으로 5년동안 300억원을 투입, 한국노인의 표준뇌지도와 알츠하이머성 치매특이지도 구축작업을 끝내기로 했다. 미래부는 이를 통해 다양한 생물학적 지표와 분석기술을 바탕으로 치매의 조기진단 및 예측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치매의 사전예방을 위해 발생 전단계의 조기진단정책으로 돌아선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의미가 깊다.

지금까지는 치매의 원인 규명과 치료제 개발 및 사후대처에 정책의 주안점을 뒀었다. 치매는 환자 본인이 스스로 자각증상으로부터 발견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고 가족들조차 무관심하면 증세가 악화된 뒤에야 병원을 찾는 것이 보통이다. 이 때문에 치매는 한 번 걸리면 영원히 치유할수 없는 불치의 질환으로 여겨져 왔다. 현재의 상태보다 더 악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치료라고 인식돼 왔다.

그러나 치매는 조기에 발견하면 얼마든지 치료가 가능하다. 따라서 치매의 조기발견 및 치료 여부에 따라 한 가정의 미래가 달라진다. 또 치매환자치료에 따른 국가적·사회적·경제적 낭비도 줄일 수 있다. 의료계는 한국노인의 표준뇌지도가 완성되면 잠재적 치매환자의 조기진단뿐 아니라 정상인에 대해서도 혈액 유전체 뇌영상등을 분석해 치매발병 가능성을 조기에 파악할 수 있어 치매 진행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맞춤형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뇌 연구는 인류가 극복해야 할 과학기술의 마지막 영역이라고 불릴 만큼 핵심원천기술을 선점할 수 있는 분야로 평가받고 있다. 미래의 세계 시장 창출도 가능하다. 정부가 정책의 발상을 바꿔 이제라도 치매예방을 위해 조기예측 및 진단을 국가적 사업으로 삼아 대처키로 한 것은 뒤늦었지만 퍽 다행이 아닐 수 없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현재 전국의 치매환자는 53만명으로 65세이상 노인 중 9.1%에 이른다. 10명 중 1명 꼴이다. 최근 4년간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환자증가율도 26.8%로 가파르다. 같은 기간 노인인구 증가율 17.4%에 비해서도 훨씬 높다.

그러나 치매의 조기발견사업이 특정부처만의 일이 아니라는 인식을 가질 필요가 있다. 조기발견에 이어 예방을 위한 사후조치와 치료가 뒤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치매사업은 미래부 외에도 복지부를 비롯한 관련부처와 의료계 제약계 등 모든 관련 기관과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 성공할 수 있다. 치매조기진단 사업이 과학기술과 국민복지의 융합형 창조경제의 대표적 상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 바란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