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병원장 유희석)은 안지오텐신II 수용체 차단제(Angiotensin Receptor Blocker, ARB) 계열 고혈압 치료약물을 투여하는 환자 중 최대 30%에서 발생하는 고칼륨혈증을 조기에 진단하기 위한 혈중 칼륨농도 측정 원칙의 근거를 마련했다고 27일 밝혔다.

아주의대 의료정보학과 박래웅 교수팀(신장내과 박인휘ㆍ호흡기내과 신승수 교수)은 아주대병원의 전자의무기록(EMR) 자료를 이용, 지난 2004년 12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약 9년 동안 입원 중에 ARB를 처음으로 투여받기 시작한 42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언제 고칼륨 혈증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대상 환자의 5.3%인 225명에서 고칼륨혈증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저 혈중 칼륨농도가 높거나, 신기능이 감소돼 있거나, 혈중 칼륨농도를 올릴 수 있는 약을 동시에 사용 중인 환자의 고칼륨혈증 위험이 높았다.

박 교수팀은 "이번 분석 결과, ARB의 최초 투여 후 불과 2~3일 이내에 고칼륨혈증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전체 고칼륨혈증의 50%가 약물 투여 일주일 이내에 집중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며 "이에 따라 이번 연구를 통해 ARB를 처방하는 경우 대상 환자의 약물 투여 전과 투여 후 일주일 이내에 혈중 칼륨농도를 반복해 측정할 필요가 근거를 제시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연구 결과는 대규모 EMR 자료를 이용해 ARB 처방 후 칼륨 재측정 시기 지침을 정하는 데 필요한 객관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며 "ARB 계열 약물을 투여받는 환자에서 약물 투여 시작 전과 약물 투여 후 일주일 이내 혈중 칼륨농도를 측정하는 게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만큼 ARB를 처방하는 의사들이 임상에서 활용해 예방이 가능한 고칼륨혈증에 따른 합병증을 막아주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임상약리와 치료(Journal of Clinical Pharmacy and Therapeutics)' 온라인판을 통해 최근 발표됐다.

ARB는 고혈압, 심혈관 및 신질환 등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지만 부작용으로 고칼륨혈증이 종종 생김으로써 이를 발견하기 위한 정기적 검사가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외 어디서도 해당 약물 투여 환자의 혈중 칼륨농도를 언제부터 검사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 연구는 없어 이에 대한 적절한 지침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