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세포 내 손상된 분자 등을 제거하는 '자가포식'을 활성화하면 당뇨병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삼성서울병원 이명식 교수<사진>와 울산의대 강상욱 교수팀이 공동으로 세포 자가포식 기능을 통한 당뇨 억제방법을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동물실험 결과, 아밀로이드를 생산하는 생쥐에서 자가포식을 막자 당뇨가 발병된 반면, 자가포식을 활성화하는 물질(트레헬로스)이 투여된 후에는 당뇨 증상이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가포식이 당뇨와 밀접한 아밀로이드에 영향을 준 것으로 연구진이 파악하고 있다.

2형 당뇨의 경우 90% 이상이 췌장 세포에 쌓인 단백질인 아밀로이드가 발병 원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밀로이드의 축적 과정이나 이를 제거하는 방법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에 아밀로이드를 자가포식으로 제거하지 못하면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세포에 악영향을 줌으로써 당뇨를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다.

이명식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자가포식 조절제가 새 당뇨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며 "당뇨처럼 아밀로이드 축적이 발병 원인으로 알려진 알츠하이머 등 퇴행성 신경질환의 치료제 개발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미 '임상저널' 온라인 최신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