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소 뚱뚱한 사람이 정상체중 사람보다 급성 심근경색 발생률이 낮다는 '비만의 역설'을 뒷받침하는 연구가 결과가 나왔다.

한주용 삼성서울병원 교수팀<사진>은 2006년 1월~ 2009년 11월까지 급성 심근경색으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 193명을 분석한 결과, 체질량지수(BMI)가 25kg/㎡ 이상인 비만 환자가 정상체중 환자에 비해 심근경색 발생범위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심근경색증으로 한 번 손상된 심장 근육은 재생되지 않아 발생범위가 작을수록 치료결과는 물론, 치료 후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한 교수팀에 따르면 비만환자(83명)와 정상체중환자(110명)를 비교 분석한 결과 BMI 이외 다른 임상적 차이는 없었다는 것.

비만환자 그룹의 평균 BMI는 27kg/㎡로 고도비만 환자(30kg/㎡)도 5명이 포함된 반면, 정상체중 환자는 22.6kg/㎡ 이였다.

비만환자 그룹과 정상체중 환자 그룹의 평균 나이는 각각 56.2세와 58.3세로 같은 연령대이면서 남성이 대부분(90.4%, 84.5%)이란 점도 비슷했다.

또 흡연율을 포함해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당뇨 등 심근경색과 관련한 요인을 갖고 있는 환자들의 비율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심근경색의 발생한 부위의 크기는 달랐다.

심장 MRI 촬영 결과 비만환자에서는 좌심실 전체 용적 대비 심근경색 크기가 17.9%였던 반면 정상체중 환자에서는 20.8%였다. 심근경색 발생 가능 영역을 측정한 값 역시 비만환자에 비해 정상체중 환자에서 더 높았다.

비만환자의 경우 좌심실의 29.4%에서 심근경색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고 평가됐으나 정상체중 환자의 경우 36%로 더 높았다. 그만큼 향후 심근경색이 재발하거나 관련 질환으로 인해 사망할 가능성이 더 큰 셈이다. 

실제 6개월 추적관찰 결과 비만환자 그룹의 경우 심장질환에 따른 사망자가 한 명도 없었으나 정상체중 환자 그룹에서는 3명이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과거 연구에서 비만환자가 심근경색 후 오히려 사망률이 낮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이유가 밝혀지지 않았고,또 상반된 연구 결과도 있어 의학계에서 논란거리가 됐다.

이런 상황에서 한 교수팀의 연구 결과는 '비만의 역설'에 대한 기전을 제시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로 평가된다.

한 교수는 "심근경색에서 '비만의 역설'이 성립하는 이유에 대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며 "비만환자에서 심근색의 크기가 작다고 해도 비만이 다른 심장질환의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라는 사실은 여전해 적당한 운동과 건강한 식생활 습관을 통한 균형 잡힌 몸매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