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 급성백혈병 환자가 개인별로 적정용량의 항암제(부설판)를 투여받을 경우 전신 방사선치료 없이도 성공적으로 조혈모세포 이식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왼쪽부터 강형진ㆍ이지원 교수
서울대 어린이병원 강형진ㆍ이지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연구팀<사진>은 44명의 급성림프모구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방사선치료 없이 조혈모세포이식을 한 결과 전체의 생존율이 86.2%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전신방사선치료를 적용하기 어려웠던 1세 미만 환자(12명)의 생존율도 83.3%로 높게 나타났다.

국제 이식등록기관에서 발표한 소아 급성림프모구백혈병의 조혈모세포이식 치료성적이 약 30~70%인 점을 감안하면 주목할만한 연구 결과다.

기존의 표준치료법은 항암제 투여와 전신방사선치료를 거쳐 조혈모세포이식을 하는 방식이다. 연구팀은 전신방사선치료 대신 항암제(부설판)를 투여하고 혈중 항암제 농도를 면밀히 체크하는 개인별 맞춤 용량 투여법을 사용해 조혈모세포이식을 했다.

조혈모세포란 '피를 만드는 어머니 세포'란 뜻으로 혈액 내의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각종 면역세포를 만든다. 병든 조혈과정을 없애고 새로운 조혈기능을 위해 건강한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는 치료법이 조혈모세포이식이다.

조혈모세포이식은 고용량 항암제 혹은 전신방사선치료를 해야 하는 독성이 높은 고위험ㆍ고비용 시술이다.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소아청소년 급성림프모구백혈병에서는 전신방사선치료를 동반한 조혈모세포이식이 표준 치료로 알려져 왔다.

성장기 소아청소년은 완치가 돼도 전신방사선치료로 성장장애, 갑상선질환, 백내장, 이차암 위험 증가 등 다양한 합병증을 겪는데 최근 치료 성적이 좋아지면서 환자의 삶의 질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강형진 교수는 "해외에서도 부설판 항암제가 전신방사선치료의 대안으로 연구돼 왔지만 대부분 실패했다"며 "연구팀은 환자의 항암제 혈중농도를 면밀히 체크하면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맞춤형 용량을 투여하는 등 약물 모니터링 기반 치료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급성림프모구백혈병은 악성 소아암 중에서도 가장 흔한 질환이다. 국내 소아에서 발생하는 백혈병은 한 해 약 370~380명으로 이 중 250명은 급성림프모구백혈병이다. 이 중 재발을 했거나 진단 시 재발의 위험이 높은 일부 환자는 완치를 위해 조혈모세포이식을 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조혈모세포이식 관련 세계적인 권위지인 '미국골수이식학회지' 온라인 최신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