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가 아동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와 두뇌발달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ADHD와 두뇌발달에 대한 환경호르몬의 영향을 밝힌 세계 최초의 뇌영상 연구다.

김붕년 서울대병원 소아정신과 교수<사진>팀은 ADHD 아동 180명(비교군)과 일반아동 438명(대조군)에게 소변검사를 한 후 요(尿) 중 프탈레이트 농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프탈레이트 대사 물질인 MEHP, MEOP, MBP 모두 비교군에서 더 높게 검출됐다.

프탈레이트는 ADHD 증상의 심한 정도와 유형에도 영향을 미쳤다. 프탈레이트의 일종인 DBP의 검출 농도가 10배 높을수록 아이들의 행동장애수치(DBDS)는 7.5배 높게 나타났다. 즉 공격적이고 충동적인 성향이 높았다.

ADHD는 A군: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장애, B군: 주의력결핍, C군: 과잉행동장애 등 3가지로 나뉘는데, A군과 C군에서 DBP가 높게 검출됐다. 이는 프탈레이트가 ADHD의 충동조절문제ㆍ공격성 악화에 관여함을 보여주는 결과다.

연구팀은 ADHD 아동 115명을 대상으로 MRI를 촬영한 후 뇌피질 두께와 프탈레이트 농도와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프탈레이트 대사물인 DEHP가 높은 아동일수록 우전두엽과 측두엽의 피질 두께가 더 얇게 나타나는 발달지연 소견을 보였다.

우전두엽과 측두엽은 공격성, 과잉행동, 불복종, 짜증, 비행과 같이 밖으로 드러나는 행동상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ADHD 환자에서의 프탈레이트 노출은 ADHD에 부가되는 추가적 공격적 행동 문제를 악화시키는 기전으로 뇌 발달의 이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인다.

김붕년 교수는 "이 연구는 아이들에게 광범위하게 노출되는 프탈레이트 물질이 아이들의 뇌 발달, 특히 공격성 문제와 연관된 측두엽 부위의 발달을 저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세계 최초의 뇌 영상 실증연구"라며 "향후 공격성 품행장애를 보이는 아이들, 공격성을 보이는 우울-불안증 아이들을 대상으로도 추가적인 뇌 영상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내분비계 교란 물질로 알려진 프탈레이트는 냄새와 색이 없는 액체기름으로 화장품, 어린이용 장난감, 주방 및 화장실의 세제, 방과 거실의 바닥재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한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그동안 프탈레이트의 유해성에 대해 많은 보고가 있었지만, 아이들의 ADHD 증상 악화와 두뇌 발달에 대한 실증적 영향을 뇌영상 연구를 통해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저명학술지인 '정신의학저널'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