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를 판매하는 약국이 또 시민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올들어 담뱃값이 대폭 인상된 후 전국적으로 금연운동이 일고 있는데도 병을 고치는 약을 지어주는 약국이 각종 질환의 유발원인이 되는 담배를 버젓이 판매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대한약사회는 지난주 전국 지부장회의를 열고 이들 담배판매 약국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으나 뾰족한 해법을 내놓지 못하고 골치를 앓고 있다.

현재 전국에서 담배를 판매하고 있는 약국은 120여곳으로 파악되고 있다. 약사회는 회의 끝에 이들 약국에 대해 담배 판매권을 당국에 반납하라고 공문을 보낸 데 이어 각 지역 약사회가 지속적으로 판매 실태를 조사해 담배판매중단을 권유해 나가기로 결정했다. 약사회의 이같은 움직임은 약국의 담배 판매 행위가 약사회의 ‘건강관리약국 모델 사업’의 목적에 위배되기 때문에 비롯된 것이다.

약사회는 약국이 주민의 건강관리센터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이미지를 바꿔나가기 위해 이러한 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런데 이처럼 병주고 약주는 식의 약국이 존재하는 한 약국이 주민건강관리센터로서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것이다. 이들 담배 판매 약국은 모두 지난 2004년 기획재정부가 약국의 담배 판매를 금지하는 내용으로 담배사업법을 개정하기 전에 담배 판매 업소로 지정받은 곳들이다.

그러나 이들 약국이 약사회의 수 년에 걸친 권유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담배 판매권을 반납하지 않고 있는 것은 담배 판매를 통해 얻는 수입이 약국 운영을 위해 무시하지 못할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약국에 따라 사정이야 다르겠으나 어느 곳은 담배 판매를 통해 최소한 약국 임대료 정도는 충당하는 수준인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담뱃값 인상 이후 담배 판매에 따른 수익은 한 갑에 250원에서 338원으로 35.2%나 증가했다. 일부이기는 하나 담배 판매권이 있는 약국의 권리금이 수 천만원에서 최고 1억원에 달하는 곳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러한 이해관계 때문에 약사회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끙끙 앓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담배 판매 약국을 운영하는 약사들은 이제 약사로서 가장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를 생각해야 한다. 비록 담뱃값 인상으로 시작되기는 했으나 정부와 시민이 지금처럼 힘을 모아 전국적인 금연운동을 펼친 적이 없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는 뜻이다.

금연은 각종 질환의 예방접종과 같이 건강을 사전에 지키는 효력이 있다고 봐야 한다. 또 흡연을 통해 발생하는 각종 질환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건강보험재정 지출을 줄이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주민의 건강을 지켜야 할 약사가 이러한 범국민 금연운동에 역행하는 행위를 한다면 주민들에 비춰지는 약사들의 이미지는 그야말로 땅에 떨어져 다시 회복하기 힘들 것이다. 담배 판매 약국의 금연운동 동참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