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암환자의 10명 중 7명은 2차 암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나 의료기관들의 암 관리 부실이 지적됐다.

신동욱 교수<왼쪽>와 박종혁 교수
서울대병원 암건강증진센터 신동욱 교수와 충북대병원 박종혁 교수는 국립암센터와 국내 13개 병원 암전문의 486명을 대상으로 2차 암 검진 경험과 태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조사 결과, 암전문의 10명 중 7명(76.3%)이 자신이 치료한 암환자 중에서 2차 암 발생 경험이 있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암전문의 10명 중 3명(30.9%)은 환자 진료 시 2차 암에 대해 언급을 잘하지 않은 것으로 답했으며, 위험이 큰 환자에게만 언급한다는 답변도 28.2%에 이르렀다.

이에 반해 환자가 묻기 전에 2차암을 말한다는 응답은 39.1%에 머물렀다.

2차 암 진료가 잘 이뤄지지 않는 요인으로는 진료 시간이 짧아 처음 발생한 암 외에는 진료하기 어렵다는 응답이 52.3%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2차 암 검진에 대한 진료지침과 근거가 부족해(47.7%), 2차 암에 대해 환자가 잘 몰라(45.1%), 2차 암검진을 위한 체계가 미비해(37.7%), 암전문의 스스로 2차 암을 잘 알지 못해(36.2%), 국가암검진과의 연계가 부족(33.7%) 등이 꼽혔다.

이런 문제에 대한 개선책으로 절반 이상의 암전문의들(57.6%)은 의료기관 내 협진체계 구축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한 병원만 협진을 제공하기보다 주변 의료기관과 네트워크를 형성해 지역 차원에서 2차 암을 관리해야 한다는 답도 15.4%로 집계됐다.

2차 암은 처음 암종과 상관없이 새롭게 생긴 암으로 암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체내에 남아있다가 새로운 종양을 만들어 다시 모습을 드러내는 재발암과는 다르다.

박종혁 교수는 "암경험자들은 2차 암 위험이 일반인보다 20~60% 가량 높지만 제대로 된 2차 암 관리를 받지 못하고 있다"면서 "병원 내 인센티브를 도입하거나 지원 체계를 구축해 2차 암 관리를 체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동욱 교수는 "2차암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암환자들의 예방 및 1차 의료를 담당할 의사와의 협진을 적극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암 연구 및 치료(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최신호에 발표됐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