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인공각막'이 미국에서 표면각막질환의 표준치료로 인정을 받음으로써 한국의료의 국제 위상이 높아졌다. 

서울대병원 안과 인공안구센터는 '서울형 인공각막'<사진>이 전 세계 안과 임상 진료지침을 정하는 미국 교과서(Keratoprostheses and Artificial Corneas)에 포함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아시아 최초의 성과로, 서울형 인공각막이 난치성 표면각막질환의 표준치료로 평가받고 있는 것이다.

병원 측에 따르면 서울형 인공각막은 수 십년 간 연구 및 개발로 결실을 맺었다.

이진학 서울의대 명예교수가 주도한 연구진은 1991년부터 연구를 시작했고, 폴리우레탄 스커트를 이용한 1차 시제품이 1997년에, 폴리프로필렌 스커트의 최종 완성품은 1999년에 개발했다.

공동 연구 개발자로는 위원량 교수, 김미금 교수(이상 서울대병원 안과), 과학기술원의 김영하 박사, 주식회사 루시드의 이무석 사장, 이종헌 이사가 참여했다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난치성 표면각막질환은 각막상피 줄기세포가 손상돼 각막이 결막처럼 불투명해지고, 신생혈관이 자라면서 혼탁해져 실명하는 병으로, 주로 스티븐존슨 증후군, 화학 손상 환자에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난치성 질환자의 각막 실명을 극복하기 위해 인공각막뿐 아니라, 줄기세포 연구 및 이종이식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고 치료제도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