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의료계가 민간단체 주도로 원격진료 서비스를 본격화하고 있어 국내 의료계에서도 더 늦기 전에 이를 따라야 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관련 전문가로 일본 원격진료 체계 시찰반을 구성해 5월 중에 파견할 계획이라고 한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일본 후생성은 지난해 8월 원격진료를 전국적으로 전면 확대 실시토록 허용해 올해 2월말 현재 전국 의료기관의 1%에 해당하는 1340여곳이 참여 신청을 했다고 한다.

원격진료는 국내 민간의료계 또는 의료인 단체에서는 아직도 터부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환자들을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에 빼앗겨 동네 병ㆍ의원의 생존이 어렵다는 고착화된 주장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 의료인단체들도 무작정 원격진료를 반대만 할 일이 아니라 의료시장 확대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밥그릇을 빼앗긴다는 구태의연한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이야기다.

일본의 경우 시범사업 후 효율성이 입증되자 2005년 의료인 단체들이 원격의료학회를 설립해 임상자료를 축적하고 원격의료 확대를 주도적으로 뒷받침해왔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일본 후생성은 단지 원격의료학회가 원만하게 운영될수 있도록 필요한 예산과 행정 지원을 하는데 그쳤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비해 한국의 경우 지난 2013년 분당서울대병원이 한 시의사회와 공동으로 원격의료 시범사업 계획을 마련해 추진하려 했으나 대한의사협회(의협)가 강력히 반대해 무산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같은 사실은 지난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코리아 2016’ 행사 중 한 세미나에서 이철희 분당서울대병원장이 공개함으로써 밝혀졌다. 당시 정부도 3년간 38억원의 예산 지원을 약속했는데도 그랬다는 것이다. 민간 자율적 사업을 의협 스스로가 방해한 것이다.

국내 민간 의료단체가 이처럼 눈앞의 밥그릇 챙기는 데만 전념하는 사이 일본은 학회를 중심으로 의료정보개발 업체와 공동으로 원격의료 상용 서비스시스템인 ‘포켓닥터’ 등의 개발을 끝내고 보급에 나서고 있다. 초진을 받은 의사에게 재진받을 수 있는 주치의 진료서비스, 앱을 다운받아 건강상담을 할 수 있는 예약상담서비스, 하루 24시간, 1년 365일동안 의사와 화상 상담받을 수 있는 ‘즉시 상담서비스’기능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원격진료시스템 개발이 가능하고 시행될 경우 동네의원들의 상담환자도 오히려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원장은 현재 대학병원에 쏠리고 있는 만성질환자들을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동네의 협력 병ㆍ의원에 보내주면 대형병원과 동네 병ㆍ의원 간 공생의 길을 모색할수 있다고 했다.

따라서 의협등 민간의료인 단체들도 이제는 원격진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탈피해 시대적 흐름에 동승해야 한다. 차제에 보건당국의 일본 원격진료시스템 견학 시찰 시 의협과 개원의 단체인 의원협회, 전국의사총연합회 등 관련단체 관계자들도 동행해 원격진료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는 기회를 갖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