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소비자뉴스=강은희 기자] 국내 제약사의 매출 성장성은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리베이트 규제정책의 영향으로 인해 영업활동이 위축되고 있는데다, 특허 만료된 대형 오리지널 의약품 부족에 따른 제네릭 부문의 신제품이 부족하고, 과거 대비 신약허가 건수마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2000년 이후 지속적인 약가인하 정책 속에서도 국내 제약산업은 경제수준 향상으로 인한 의료서비스 기대치가 상승하고, 인구 고령화 등으로 꾸준히 성장해 왔다.

그러나 최근 의약품 거래 및 약가제도 투명화 방안, 제약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등 더욱 구체화되고 있는 각종 정부정책 속에서 국내 제약산업의 구조적인 변화가 불가피하다.

차별성 없는 제네릭 위주의 업체는 차츰 경쟁력을 잃어 결국에는 신약개발과 해외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제약사나 시장지배력이 있는 상위사 위주로 제약산업이 재편될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한 제약사의 한 관계자는 “사실상 올 초부터 여러가지 정책적인 규제로 마케팅이나 매출면에서 상당부분 위축된 상태다. 신뢰관계 형성을 위해 했던 추석선물도 괜히 구설수에 오르기 싫어 아예 하지 않기로 했다”면서 “요즘같이 어려운 업계 분위기에서 실적이 좋기도 힘들지만 실적이 좋다고 해도 의심받기 십상”이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그는 또 고성장 할 수 있는 역량은 이미 갖추고 있지만 적극적으로 활약할 수 없는 현실이 아쉽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인지 국내사들은 대부분 뾰족한 대책을 찾지 못하고 제도시행 이후의 상황을 일단 살피면서 변화의 추이를 지켜보자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로 정부 정책리스크를 최소화하고, 활발한 R&D 투자로 신약개발에 적극적이면서 제휴와 인수를 통해 외형성장과 수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기업이 비교적 유리한 위치에 있게 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한 업계 전문가는 “활발한 R&D 투자로 시장성 있는 신약 파이프라인을 다수 보유하고 있고 지속적으로 해외진출을 모색하는 업체가 정부 규제정책으로부터의 영향을 덜 받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식약청에 따르면 현재까지 국내 개발 신약은 총 16개 품목이고, 지난해 상반기에는 총 13개 제품이 신약으로 허가됐다.  

식약청 관계자는 “그러나 국내개발은 아니고 대부분 수입품목이어서 국내 제약사의 신약개발을 위한 노력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