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소비자뉴스=편집국] 문재인 대통령의 일자리 창출 공약이 취임 제1호 핵심사업으로 자리잡으면서 제약업계의 인력 채용에 대한 정부의 지원책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제약업계는 지난 수 년 동안 다른 제조업 분야가 내수 침체와 투자 위축으로 고용이 악화되는 상황에서도 꾸준히 일자리가 늘어난 유일한 업종이다.

한국제약협회의 자료에 따르면 2011년 7만4477명이었던 국내 제약업계의 고용 인력은 지난해 9만4929명으로 증가했다. 5년 만에 27.5%, 매년 4000명 이상씩 늘어났다. 신규 채용에서도 연구ㆍ개발직이 늘어나 고용의 질 개선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미국의 배틀리(Battelle)연구원은 최근 제약산업이 10조원의 매출을 올릴 경우 일자리는 연구직과 연관 산업 등을 포함해 모두 13만개가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제약산업의 시장 규모가 현재 20조원 규모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일자리 증가의 여지는 충분하다는 것이 제약협회의 분석이다.

특히 한국고용정보원은 제약업계의 취업전망보고서에서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연평균 2.6%씩 제약ㆍ바이오 분야 고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제조업 평균 0.8%보다 3배 이상 높은 것이다.

제약ㆍ바이오 분야가 국가의 미래 먹거리산업으로 자리매김된지는 오래됐다. 고용의 질면에서도 고급 일자리로 평가된다. 앞으로 제약업계의 일자리를 획기적으로 늘려가야 할 이유다. 따라서 이번 문 대통령의 지시로 설치하게 된 일자리위원회와 정부의 고용 관련 부처가 제약ㆍ바이오 관련 산업의 일자리 확대에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제약업계는 현재 제약계의 신규 취업 관련 사업에 정부가 지원을 강화한다면 일자리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고학력자 고용보조금 지원 대상을 29세에서 35세로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 세액공제 대상도 확대해서 신약개발 외에 개량신약 연구비에 대해서도 세액을 공제해줄 것을 바라고 있다.

이밖에도 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 공제도 품질관리 설비에까지 확대해주기를 희망하고 있다. 앞으로 일자리 위원회가 정식 활동을 시작한다면 이러한 제약ㆍ바이오 업계의 요구가 적극 반영돼 시행되기를 기대한다. 새 정부의 조직이 하루라도 빨리 구성돼 제약ㆍ바이오 업계는 물론 경제 전반에 활성화 바람이 일어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