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소비자뉴스=오지혜 기자] '저녁형 인간'은 사회생활에서 피로나 우울 등이 생길 수 있으나 '회복 탄력성'을 높이면 이를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회복 탄력성은 부정적이거나 불리한 상황을 극복하는 개인의 역량을 의미한다.

사람은 자신이 선호하는 활동 시간에 따라 아침형ㆍ중간형ㆍ 저녁형으로 나뉘는데, 이를 '크로노타입' 이라고 한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 아침형으로 분류되며 반대로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 저녁형으로 분류된다.

윤인영 분당서울대병원 수면센터 교수와 전홍준 건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분당서울대병원 직원 1794명을 대상으로 수면의 질, 주간 졸림증, 신체 피로, 우울, 불안, 그리고 삶의 질을 평가하고 크로노타입과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저녁형 크로노타입이 수면의 질에는 상당한 수준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그 외 신체 피로, 우울, 불안, 그리고 삶의 질에는 회복 탄력성의 영향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윤 교수는 "보통 저녁형 인간인 경우 사회생활에 불편함을 줄 수 있는 피로나 우울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문제가 생겨도 이를 피하기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였지만, 이번 연구 결과 '회복 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저녁형 크로노타입 보유자라도 큰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즉각적인 변화가 어려운 크로노타입과 달리 회복 탄력성은 환경과 생활습관, 다양한 심리 치료프로그램 등으로부터 향상될 수 있기 때문에, 사회적 리듬과 개인의 크로노타입이 불일치하는 경우 회복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시간 생물학' 최근호에 게재됐다.

                                   윤인영<왼쪽>ㆍ전홍준 교수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