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치매 진단ㆍ예방ㆍ치료기술 개발에 2000억원 예산이 투입된다.

정부는 19일 '치매국가책임제' 실시 2년을 맞아 치매 극복을 위한 정책 내실화 방안을 발표했다.

그 일환으로 보건복지부는 치매 연구개발(R&D)에 내년부터 2028년까지 9년간 2000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복지부는 지난해 6월 마련한 국가치매연구개발 계획이 최근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이같은 예산을 잡았다고 밝혔다.

이번 예산과 관련해 복지부는 치매 극복을 위한 연구와 함께 치매 예방 및 집에서 생활하는 경증 치매환자와 가족이 필요로 하는 돌봄 서비스 강화에 중점을 둔 다양한 신규 과제를 발굴할 방침이다.

치매전담시설도 확충할 예정이다.

공립요양시설이 없는 지역 중심으로 치매전담실이 있는 공립시설 130곳을 2023년까지 단계적으로 확충된다.

앞서 정부는 2017년 발표한 치매국가책임제를 통해 치매에 대한 맞춤형 사례관리, 의료지원, 장기요양서비스 확대 등 환자와 가족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방안들을 진행해왔다.

그 결과, 치매환자와 가족은 2017년 12월부터 전국 보건소 256곳에 설치된 치매안심센터에서 상담, 검진, 1대1 사례관리, 서비스 연결까지 통합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지금까지 43만명의 치매환자들이 통합서비스를 이용했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또 중증치매환자의 의료비 부담률이 최대 60%에서 10%로 완화된 데다 본인부담액이 평균 48만원에서 20만원으로 낮아졌고 현재까지 4만명이 혜택을 본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치매환자는 지난해 74만8000명으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10%에 달한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2039년엔 치매환자가 200만명, 2050년엔 300만명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복지부는 내일 오전 10시부터 세종대 광개토관 컨벤션홀에서 치매국가책임제 2년 성과를 소개하고 치매 극복을 위해 헌신한 사람들에 대한 포상을 위해 ‘12회 치매 극복의 날’ 기념식을 개최한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