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고혈압환자가 치료 목표혈압을 낮추면 사망률을 최대 32%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 국립보건연구원(원장직무대리 박현영)은 현재 수행 중인 '노인 취약층에서의 고혈압 관리 최적화를 위한 근거 창출 및 관리 모형 개발' 연구에서 이런 결과를 입증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결과를 통해 노인 고혈압 환자에게서 더 낮은 혈압을 목표로 치료한 군이 통상적 치료군보다 심혈관질환 사망률 및 모든 원인 사망률을 30% 이상 낮추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혈압은 65세 이상에서 가장 흔한 만성질환으로 심근경색, 뇌졸중, 심부전 등의 합병증을 일으키며, 특히 의료비 부담이 가장 높은 단일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책임자 : 서울의대 윤재문 교수)는 기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방식으로 진행됐다. 65세 이상 고혈압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5개의 무작위 배정 비교 임상 연구들이 포함됐다. <표 참조>

자료 :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자료 :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그 결과,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20%,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35%, 모든 원인 사망률이 32%까지 낮췄으며 심부전 발병은 38%까지 감소시켰으며, 부작용 측면에선 차이가 없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또 노인 고혈압 치료가 인지기능 변화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를 진행한 결과, 약물치료 또는 더 낮은 목표 혈압으로 치료해도 인지기능이 떨어지거나, 치매 발생의 차이는 없었는데, 이 결과는 노인 고혈압 환자의 적극적인 혈압 조절이 부작용 없이 심뇌혈관질환 발생과 사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연구진은 "고령에서 목표혈압에 따른 임상적 효과를 비교한 양질의 연구가 많지 않았고, 국내에선 관련 연구가 시행된 바도 없어 한국인에게 맞는 노인 고혈압 관리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선 장기적 추적 관찰을 포함한 양질의 국내 임상연구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질병관리본부는 한국인 노인 고혈압 환자의 목표혈압 기준 마련에 대한 과학적 근거 자료들이 생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이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 고혈압 환자에게서의 적정 목표혈압 기준 마련을 위한 첫 번째 임상 중재 연구"라며 "한국인 노인 고혈압 환자에서의 적정 목표혈압 기준 및 환자 특성별 맞춤형 관리 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장기 추적 조사 계획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