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저, 스포츠 활동 인구가 늘면서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어깨충돌증후군이 크게 늘고 있다.

이 질환은 어깨를 덮고 있는 구조물인 견봉돌기(어깨뼈)와 팔뼈 사이가 좁아져, 어깨뼈와 힘줄(회전근개)이 마찰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를 방치할 경우 회전근개 파열로 악화될 가능성이 있어 정확한 진단과 초기 치료가 중요하다.

국내연구진이  어깨뼈의 단면적을 통해 어깨충돌증후군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새 진단법을 개발했다.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김영욱(사진) 교수(마취통증의학과)는 어깨충돌증후군의 주원인인 어깨뼈(견봉돌기)에 주목했다.

기존에 어깨충돌증후군의 진단을 위해 견봉돌기의 모양에 따라 ▲편평 ▲굴곡 ▲갈고리 ▲블록의 4개 유형으로 나눠 구별했다.

김영욱 교수는 “4개의 유형의 실질적 구별이 어렵다고 판단해, 어깨충돌증후군의 주원인인 견봉돌기에 주목해 단면적을 계산하는 방법을 선택했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김 교수팀은 어깨 MRI (자기공명영상)를 이용해 견봉돌기 단면적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어깨충돌증후군 환자에게서 견봉돌기의 모양에 상관없이 견봉돌기가 비대해지는 ‘과골화증’이 발생한 것을 확인했다. 즉 견봉돌기 면적의 증가가 어깨충돌증후군의 주원인이 된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김 교수팀은 어깨 충돌 증후근 환자 95명과 정상인 126명의 MRI 촬영을 통해 견봉돌기 단면적과 진단의 정확성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어깨충돌증후군 환자가 정상인보다 견봉돌기 단면적이 평균 42.24mm² 두꺼웠다. 또한 검사로 유병자를 골라내는 지표인 민감도와 특이도가 각각 85.2%, 84.9%로 측정됐다.

김 교수는 “어깨 MRI를 이용해 어깨충돌증후군 진단의 정확성을 한층 끌어올릴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임상에 도움이 되기 위해 다양한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어깨충돌증후군에서 견봉돌기 단면적의 평가’라는 제목으로 SCIE 논문인 Korean

Journal of Pain 2020년 1월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