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가 13일부터 코로나 자가진단키트(신속항원검사키트)의 온라인 판매를 금지키로 했다. 다만 재고물량에 대해서만 16일까지 온라인 판매를 허용키로 했다. 또 약국이나 편의점등 오프라인에서 구입할 수 있는 자가진단키트의 물량은 5개로 제한하되 다른 판매처에서 중복구매는 허용키로 했다.

식약처가 뒤늦게나마 이처럼 코로나 자가진단키트의 수급조절에 나선 것은 다행스런 일이다. 코로나 자가진단키트는 지난주 오미크론 확산세가 강해지면서 하루 확진자수가 5만명선으로 폭증하자 온라인 판매망을 중심으로 수요가 크게 늘어나 가격까지 급등하는 사태를 빚었다.

이 때문에 시중에서 코로나 자가진단키트 20~25개들이 한 박스당 가격이 20~28만원까지 치솟기 까지 했다. 그나마 온라인 상에서는 낱개로는 판매하지 않을뿐 아니라 오프라인 판매점에서는 낱개당 가격이 자가진단키트 1개에 2만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2020년 우한 코로나 유입 초기에 발생했던 마스크 대란을 연상케 할 정도였다.

현재 코로나 자가진단키트를 생산 판매하는 제약사는 5개사에 달하고 하루 최대 생산가능량은 750만개로 공급물량은 충분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식약처는 10일부터 3일동안 이미 814만명분의 자가진단키트를 공급했고 이달안에 300만명분을 추가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3월에는 1억9000만명분을 집중 공급함으로써 일반인들의 자가진단키트 구입난을 완전 해소하겠다고 했다. 이처럼 자가진단키트의 국내 공급능력이 충분한데도 그동안 왜 수급조절을 하지 못해 정부가 쩔쩔맸는지 그 이유를 알수 없다. 정권교체기의 행정공백을 의심케 한다.

제약계 분석에 따르면 이처럼 수급조절이 원활하지 않게 된 것은 비록 생산은 안정적일 지라도 소매점 판매를 위해 수작업으로 적은 양으로 나누는 소분과정에서 시간이 오래 걸려 소비자들의 손에 전달되기 까지 병목현상이 일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진다.

또 당국도 갑작스런 확진자 급증에 사전 대처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오미크론 확산세는 이미 지난달부터 예고됐던 것이다. 당국과 업계가 조금만 신경을 썼더라면 얼마든지 대비할수 있었던 것이다. 당국의 보다 세심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