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은 대부분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고, 5년 생존율이 10% 미만으로 예후가 매우 불량한 암 질환으로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다.

하지만 지난 14년 간 췌장암 환자의 생존율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생존율은 나이가 낮을수록 높았고,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에서 향상됐다. 항암화학요법이 최근 크게 즐고 있는 가운데 '젬시타빈 냅 프클리탁셀(gemcitabine+nab-paclitaxel)' 병합요법과 FOLFIRINOX가 주요 항암요법이 된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박병규(사진)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청구를 이용한 전국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 최초로 췌장암의 치료 경향 분석과 임상 결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했다.

2006년~ 2019년 입원이나 외래진료 청구서에 췌장암 진단코드와 암산정특례 코드가 있는 18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조사 결과, 췌장암 환자는 2006년 3794명에서 2019년 8153명으로 4359명(2.15배)이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80세 이상이 4.19로 가장 높았고, 70대 2.18, 60대 1.77, 59세 이하 연령군 1.68로 췌장암 발생은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했다.

치료유형을 보면 전체 환자 7만9008명 중 보존적인 치료만 받은 환자(50.7%)가 가장 많았다. 수술을 받지 않고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26.6%), 수술을 받은 환자(21.0%), 동시항암방사선요법(1.3%), 순이었다.

연도별로 보면 2006년 대비 2019년 수술(9.4%)과 항암화학요법(10.9%)은 점차 증가하고, 보존적인 치료만 받은 환자는 2006년 61.0%에서 2019년 41.5%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연령에서 수술이나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비율이 증가했고, 특히 70대의 경우 수술치료에 있어 2006년 9.5%에서 2019년 23.9%로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생존율, 60대 7.8개월 늘고 59세 미만은 18.8개월로 늘어나 

반면 80세 이상은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이 조금씩 증가하고 있으나 80% 이상의 환자가 여전히 보존적인 치료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화학요법에 사용된 항암제는 2006~2011년에는 gemcitabine 단독요법, 2011~2015년에는 gemcitabine+erlotinib 병합요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어 지난 2017년부터는 gemcitabine+nab-paclitaxel 병합요법과 FOLFIRINOX가 주요 항암요법이 됐다.

이러한 항암화학요법의 경향은 건강보험 급여 적용 시기에 일치해 나타나 항암제의 건강보험 급여가 실제 의료 현장에서 즉각로 사용량 증가로 나타났다.

지난 14년간 중앙생존기간은 80세 이상은 2.4개월에서 3.4개월로 1개월 향상, 70대는 4.2개월에서 8.3개월로 4.1개월 향상, 60대는 6.8개월에서 14.6개월로 7.8개월 향상됐다. 59세 미만은 8.8개월에서 18.8개월로 10개월이 향상됐다. 

연구팀은 췌장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전체 생존기간은 수술 후 사망률 감소에 의한 안전성 증가, 외과적 절제술의 개선, 수술 후 보조치료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지난 20년간 상당히 개선됐다고 분석했다. 항암화학요법에서 생존율의 향상은 항암제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 gemcitabine+nab-paclitaxel 병합요법과 FOLFIRINOX의 도입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췌장암 환자의 지역별 의료기관 이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수술의 경우 전체 비수도권 환자 50% 이상이 서울권역에서 수술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화학요법치료도 전체 비수도권 환자들 중 서울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비율은 2006년 32.7%에서 2019년 42.2%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췌장암 치료의 서울집중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