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의협)가 지난주 정기 대의원총회를 열고 원격의료 시행에 대비해 의협이 주도적으로 대책을 마련하자는 안건을 의결했다.

그동안 줄곧 원격의료에 반대해오던 의협이 사실상 이를 전격 수용하고 능동적으로 대책을 마련키로 한 것이다. 원격의료가 2000년 처음 강원도내 16개 시군 보건소에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시범실시해 오다 지금까지 그 대상자와 지역만을 확대해왔으나 의사들의 반대에 부딪혀 거의 중단위기에 빠졌던 것을 감안하면 이번 의협의 조치는 실로 획기적이고 긍정적 결정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의협의 결정에 이어 원격의료산업협의회(회장 장지호)도 지난 29일 학술회의를 열고 “원격의료는 이제 코로나 팬데믹상황속에서 2년넘게 효과성이 입증됐기 때문에 더 이상 미룰수 없게 됐다”며 의협의 결정에 맞장구 쳤다. 원격의료 시행이 새 정권 출범을 앞두고 급물살을 타고 있는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도 대선후보 당시인 지난해 12월초 ‘스타트업 정책토크’에서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원격의료제도의 도입을 밝힌 적이 있다. 따라서 이제 전면적 원격의료 시행은 시행자체보다 시기만을 남겨 놓고 있는 셈이다.

의협은 그동안 원격의료를 20년 넘게 반대만 해왔다. 이유는 첫째 원격의료가 시행되면 환자들이 대형병원의 유명의사에게만 몰려 동네병의원들이 고사할수 있다는 우려에서였다. 둘째는 비대면 진료로 인해 의료사고가 발생하면 그 책임을 의사가 모두 뒤집어 쓸 위험이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2년넘게 계속된 코로나 사태로 인해 ‘원격의료는 더 이상 피할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라는 인식이 의료계에 폭넓게 자리잡아 이처럼 의협의 결정이 이뤄진 으로 알려진다. 메디소비자뉴스가 기회있을때마다 원격의료 시행을 주장해온 것도 이 때문이었다.

비대면 진료로 인해 우려되는 의료사고도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는 것이 원격의료산업협의회의 설명이다. 이미 1990년대부터 일찍 원격의료를 시행해온 미국의 경우 환자들이 스스로 경증일 때는 비대면 진료를, 중증일때는 대면진료를 선택하기 때문에 의료관련 소송은 거의 없다는 것이 협의회측의 설명이다.

시범사업을 한국과 비슷한 시기에 시작했던 일본은 지난 2015년부터 원격의료를 전면적으로 시행했고 중국도 이에 못지않게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서다. 현재 원격의료 세계시장규모는 114조5774억원(2021년)으로 7년후인 2028년에는 803조3025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원격의료는 차세대 산업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것이 산업계의 주장이다. 다행스럽게도 한국은 의료인들의 높은 진료수준과 IT(정보통신)기술이 세계최고임을 자랑하고 있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이 충분하다고 했다. 따라서 관련 의료단체 및 기관은 이제라도 서둘러 협의체를 구성해 원격의료시대를 주도할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

저작권자 © 메디소비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